개발 지식 기록/북스터디

TCP/IP 4계층 모델

엉망진창좌충우돌 2024. 2. 1. 03:52

IP (Internet Protocol) 

  • 데이터를 패킷(Packet) 이라는 단위로 최대한 빠르게 특정 목적지로 보내는 프로토콜
  • 비신뢰성 : 패킷의 순서 보장이 되지 않고 전달여부도 보장되지 않는다.(유실 가능성이 있다.)
  • 비연결성 : 송신자와 수신자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서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수신자의 받지 못할 상태인지 여부와 상관 없이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자는 데이터를 받지 못한다.)
  • IP가 비신뢰성과 비연결성을 갖는 이유 : 통신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
  •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고 데이터의 신뢰성이 중요해지면서 IP패킷 위에 TCP 패킷을 덮은 TCP/IP 프로토콜을 자주 사용한다.

 

TCP/IP 개념

  •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시스템 간 네트워크 연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모델
  • 현재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이 TCP/IP가 사용되고 있다.

 

OSI 7계층 VS TCP/IP 4계층

 

 

OSI 7 계층은 통신 접속부터 완료까지의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모델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정립되었고,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OSI 7 계층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 한 것이 TCP/IP 4계층이다.

네트워크 전송 시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 것이 OSI 7계층, 이 이론을 실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 TCP/IP 4계층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 응용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
  • 데이터 단위 : Data/Message
프로토콜 설명
TCP 프로토콜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80포트 사용
FTP 인터넷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기본 프로토콜
Data 전달 시 : 20 포트, 제어정보 전달 시 : 21 포트
SMTP 이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25 포트 사용
UDP 프로토콜 DNS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네트워크 주소로 바꿔주는 프로토콜
53포트 사용
SNMP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통상의 메시지 161 포트, 트랩 메시지 162 포트
DHCP IP 자동 할당과 분배 기능
목적지 67 포트, 출발지 68 포트

 

 

전송 계층 ( Transport Layer)

  •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 패킷들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 실패한 패킷들을 다시 전송한다.
  • 프로토콜 : TCP, UDP
  • 데이터 단위 : Segment
  • 전송 주소 : Port

 

TCP (Transimission Control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 패킷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순서도 보장한다.
  • 신뢰성 확보를 위해 '3-way handshaking' 라는 작업을 진행한다.
  • 연결의 설정 : 3-way handshaking
  • 연결의 해제 : 4-way handshaking
  • UDP 보다 전송 속도가 느리다.
  •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 헤더 정보 : 송수신자의 포트번호, 시퀀스 번호, 응답번호, 데이터 오프셋, 예약필드, 제어비트, 윈도우 크기, 체크섬, 긴급위치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연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발신하는 프로토콜
  • TCP 보다는 빠른 전송을 할 수 있지만,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은 떨어진다.
  • 중간에 패킷이 유실이나 변조가 되어도 재전송을 하지 않는다.
  •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 헤더 정보 : 송수신자의 포트번호, 데이터의 길이, 체크섬

가상회선 교환 방식

  •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인 연결을 먼저 수행한다.
  • 경로가 고정되면 다른 패킷을 나누어 전송한다.
  • 데이터그램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지만,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별도의 호(Call) 설정 과정이 있다.

데이터그램 교환 방식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 연결이 설정되지 않으며,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된다.
  • 각각의 패킷을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한다.
  • 짧은 메시지의 패킷들을 전송할 때 효과적이고, 재정렬이 필요하다.

 

 TCP 연결 성립 / 해제 과정 ( 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1. 3-way handshaking

3 way handshaking

연결 전에 패킷을 보내 확인하는 과정이다.

 

SYN - 연결 요청 플래그

ACK -  응답 플래그

ISN - 초기 네트워크 연결을 할 때 할당된 32비트 고유 시퀀스 번호

 

1. SYN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ISN를 담아 보낸다.

2. SYN + ACK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을 수신하고 서버의 ISN과 클라이언트의 ISN+1을 보낸다.

3. ACK :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SN+1한 값인 승인번호를 담아 ACK를 서버에 보낸다.

 

3 way handshaking 이후 신뢰성이 구축되고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2. 4-way handshaking

4-way handshaking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이다.

 

1.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닫으려고 할 때 FIN으로 설정된 세그먼트를 보낸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FIN_WAIT_1 상태로 들어가고 서버의 응답을 기다린다.

2.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ACK라는 승인 세그먼트를 보낸다. 그리고 CLOSE_WAIT 상태에 들어간다. 클라이언트가 세그먼트를 받으면 FIN_WAIT_2 상태에 들어간다.

3. 서버는 ACK를 보내고 일정 시간 이후에 클라이언트에 FIN이라는 세그먼트를 보낸다.

4. 클라이언트는 TIME_WAIT 상태가 되고 다시 서버로 ACK를 보내서 서버는 CLOSED 상태가 된다. 이후 클라리언트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대기한 후 연결이 닫히고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모든 자원의 연결이 해제된다.

 

TIME_WAIT의 이유

1. 지연 패킷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데이터 무결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

2. 두 장치가 연결이 닫혔는지 확인하기 위함

 

인터넷 계층 (Interent Layer)

  • 여러 개의 패킷 교환망들의 상호 연결을 위한 비연결성 프로토콜
  •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한다.
  • 데이터 단위 : 패킷
  • 전송 주소 : IP
프로토콜 설명
IP 여러 개의 패킷 교환망들의 상호 연결을 위한 비연결성 프로토콜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P 패킷 전송 중 에러 발생 시, 에러 발생 원인을 알려주거나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해주는 기능 제공
IGMP 호스트가 멀티캐스트 그룹 구성원을 인접한 라우터에게 알리는 프로토콜
ARP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한다.
네트워크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MAC)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RARP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Access Layer)

  •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한다. (논리 주소인 IP 사용이 아니다.)
  •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 데이터 단위 : 프레임(데이터 링크 계층), 비트(물리 계층)
  • 전송 주소 : MAC
프로토콜 설명
Ethernet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통신 회선의 접근 제어를 정의하는 IEEE 표준
X.25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패킷 교환망을 통해 패킷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TCP/IP보다 느리지만 안정성과 보안성은 더 뛰어나다.
RS-232C 공중전화 교환망(PSTN) 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DTE / DCE

더보기

DTE(Data Terminal Equipment)

  • 사용자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측에서 데이터 발신장치나 수신장치, 또는 두 가지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
  • DTE는 반드시 모뎀과 같은 DCE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DCE에 의해 생성된 클럭 처리 신호를 사용한다.
  • DTE에는 컴퓨터, 라우터 등이 포함된다.

DCE(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 사용자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 DCE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물리적인 수단이 되며, 트래픽을 전송하고, DCE 장치와 DTE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동기화 시키는 데 사용되는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 DCE에는 모뎀과 인터페이스 카드가 포함된다.

 

출처 : https://togll.tistory.com/41

 

[네트워크] DTE / DCE / DSU / CSU 차이와 특징

DTE / DCE 란? DTE - Data Terminal Equipment의 약자 -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측에서 데이터 발신 장치나 수신 장치, 또는 두 가지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 - DTE는 반드시 모뎀과 같은 DCE장

togll.tistory.com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을 OSI 7 계층에서는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누기도 한다.

 

물리계층

  • 물리 계층은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이것은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 상태이다.
  • 데이터를 전달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 장비 : 통신 케이블, 랜카드, 리피터, 허브

 

데이터 링크 계층

  • 포인트 투 포인트 간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
  • CRC(순환 중복 검사,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 기반의
    오류 제어(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여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파손에 대비하는 기능)와
    흐름 제어(수신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측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가 필요하다.
  •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
  • 물리주소인 MAC 주소가 이 계층에 해당한다.
  • 장비 : 스위치, 브릿지

유선 LAN(IEEE802.3)

유선 LAN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이라는 프로토콜을 따르며 전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전이중화 통신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눠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반이중화 통신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동시에 통신할 수는 없으며 한 번에 한 방향만 통신할 수 있다.

장치가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면 응답하기 전에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둘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하여 메시지가 손실되거나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방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CSMA/CD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

데이터를 보낸 이후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

송신로와 수신로를 각각 둔 것이 아니고 한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낼 때 충돌에 대비한다.

용어 의미

- CS(Carrier Sense) :  채널 사용 전 다른 이용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현재 데이터가 전송중이면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 MA(Multiple Access) : 누구든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

- CD(Collision Detection) : 충돌을 검사하여 제어하는 통신 방식

 

이더넷 시스템 규격 ( 전송속도 / 전송방식 (Baseband or Broadband) / 케이블 방식)

  • 10 BASE 2 : 얇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며, 2는 세그먼트의 최장거리가 200m
  • 10 BASE 5 : 굵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며, 5는 세그먼트의 최장거리가 500m
  • 10 BASE F :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는 이더넷
  • 10 BASE T : 10MBps의 전송속도, 베이스 밴드 방식, Twisted Pair Wire 케이블 사용
  • 고속 이더넷 : 100 BASE T라고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
  • 기가비트 이더넷 : 1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
더보기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여덟 개의 구리선을 두 개씩 꼬아서 묶은 케이블

구리선을 실드 처리하지 않고 덮은 UTP 케이블과 실드 처리하고 덮은 STP로 나눠진다.

흔히 보는 LAN 케이블은 UTP 케이블이다.

 

광섬유 케이블

광섬유로 만든 케이블

레이저를 이용해서 통신하기 때문에 구리선에 비해 장거리 및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보통 100Gbps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광섬유 내부와 외부를 다른 밀도를 가지는 유리나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해서 한 번 들어간 빛이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반사하며 전진하여 반대편 끝까지 가는 원리를 이용

빛의 굴절률이 높은 부분을 코어(Core), 낮은 부분을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한다.

 

무선 LAN(IEEE802.11)

 

무선 LAN 장치는 수신과 송신에 같은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CSMA/CA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접근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감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CSMA/CD 대신 CSMA/CA를 사용한다.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일련의 과정을 기반으로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CSMA 방식에 충돌 회피 기능 추가)

용어 의미

- CS(Carrier Sense) :  채널 사용 전 다른 이용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현재 데이터가 전송중이면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 MA(Multiple Access) : 누구든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

- CA(Collision Avoidance) : 충돌을 검사하여 피하는 통신 방식

 

주파수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 하나를 써서 구축한다. 2.4GHz는 장애물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자레인지, 무선 등 전파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5GHz ㄷ역은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수도 많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깨끗한 전파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802.11의 버전

버전 내용
802.11a 5GHz 대역에서, 802.11의 속도를 최대 54 Mbps까지 동작하는 확장 표준
802.11b 2.4GHz 대역에서 최대 11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
802.11e 무선 LAN  표준에 QoS 및 트래픽 관리 기능을 추가
802.11g 802.11b의 뒤를 잇는 후속 표준
2.4GHz의 대역에서 50Mbps 속도를 지원한다.
802.11n 2.4GHz와 5GHz 두 주파수를 지원하며, 최대 속도는 600Mbps

 

 

와이파이

전자기기들이 무선 LAN 신호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이를 사용하려면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있어야 한다.

 

BSS

BSS(Basic Service Set)는 기본 서비스 집합을 의미하며, 단순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아닌 동일 BSS 내에 있는 AP들과 장치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말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고, 하나의 AP만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ESS

ESS(Extended Service Set)은 하나의 DS(Distribution System,AP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를 의미)에 여러개의 BSS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부르는 것이다. 장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며 BSS보다 더 많은 가용성과 이동성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며 중단 없이 네트워크에 계속 연결할 수 있다.

 

이더넷 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캡슐화하며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Preamble : 이더넷 프레임이 시작임을 알린다.

SFD(Start Frame Delimiter) : 다음 바이트부터 MAC 주소 필드가 시작됨을 알린다.

DMAC : Destination MAC Address

SMAC : Source MAC Address

EtherType : 데이터 계층 위의 계층인 IP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ex) IPv4, IPv6

Payload : 전달받은 데이터

CRC : 에러 확인 비트

 

EtherType/Length 까지가 Header이다.

 

그 외 LAN의 표준 802.X 시리즈

표준 설명
802.1 전체의 구성, OSI 참조 모델과의 관계, 표준규약
802.2 논리링크제어(LLC)에 관한 규약
802.4 토큰 버스에 관한 규약
802.5 토큰 링에 관한 규약
802.15 블루투스에 관한 규약

 

계층 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

캡슐화 과정을 거쳐 전달되고, 링크 계층을 통해 해당 서버와 통신 후 다시 비캡슐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가 전송된다.

 

 

 

캡슐화를 거치면서 상위 계층의 헤더와 데이터를 하위 계층의 데이터 부분에 포함시키고 해당 계층의 헤더를 삽입한다.

비캡슐화는 반댈 헤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네트워크에서 계층에서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한 덩어리의 단위를 PDU(Protocol Data Unit)이라고 한다.

PDU는 제어 관련 정보들이 포함된 '헤더', 데이터를 의미하는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층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Data / Message

전송 계층 : Segment(TCP), Datagram(UDP)

인터넷 계층 : Packet

링크 계층 : Frame(Data Link), Bit(Physical)

 

IP 헤더

 

헤더 설명
버전(Version) IP 프로토콜의 버전
헤더 길이(Header Length) IP 헤더의 길이
헤더의 길이 20Byte ~ 60Byte
서비스 유형
(TOS, Type of Service)
서비스 유형 및 혼잡 알림을 나타내는 8비트 필드
전체 길이
(Total Packet Length)
IP 헤더 및 데이터를 포함한 IP 패킷 전체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길이를 표시
식별자
(Identifier)
생성되는 각각의 패킷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번호. 패킷은 제 2계층 프로토콜의 최대 전송 단위(MTU) 값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그먼트(Fragment)로 분할되어 처리되는데, 분할되어 온 fragment들을 원래의 패킷으로 재조립할 때 이 식별자 값을 기준으로 한다.
플래그(Flag) IP 패킷(데이터그램)의 분할(fragmentation) 가능 여부와 마지막 fragment인지 아닌지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
단편 오프셋
(Fragmentation offset)
하나의 패킷이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로 분할될 때, 각각의 프래그먼트 내의 페이 로드가 원래의 패킷 내의 페이로드를 기준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명시하는 필드. 분할된 프레그먼트들은 이 분할 위치 값을 이용하여 원래의 패킷으로 재조립되게 된다. 
수명
(Time to live)
패킷이 라우터를 최대 몇 번 거쳐서 살아남을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
패킷이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이 필드의 값이 1씩 감소되며 0이 되면 버려진다.
프로토콜
(Protocol)
IP 데이터그램의 데이터(페이로드)에 담겨져 있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알려준다.
ICMP가 1번, IGMP가 2번, TCP가 6번, UDP가 17번
체크섬
(Header Checksum)
Header 필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필드
발신지 주소
(Source IP address)
패킷을 보낸 노드의 IP 주소
목적지 주소
(Destination IP address)
패킷이 도착해야 하는 목적지의 IP 주소

 

TCP 헤더

 

헤더 설명
송신지 포트
(Source Port)
출발지 포트
수신지 포트
(Destination Port)
수신지 포트
순서 번호
(Sequence Number)
바이트 단위로 순서화되는 번호
순서제어를 통해 신뢰성(3-way Handshking) 및 흐름제어(Sliding Window) 기능 제공
확인 응답 번호
(Acknowledgment Number)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다음 byte 번호 (마지막으로 수신에 성공한 번호의 +1)
헤더 길이
(Header Length)
TCP 헤더의 길이
예약된 필드
(Reserved)
예약된 필드, 현재 사용되지 않음
윈도우 크기
(Window)
자신의 수신 버퍼 여유 용량
검사합(Checksum) 패킷이 유효함을 계산하기 위한 필드
긴급포인터
(Urgent Pointer)
어디서부터 긴급 값인지 알려주는 플래그(TCP Flags의 U와 세트)
TCP Flags U(Urgent) : 긴급 비트, 내가 지금 보내는 데이터가 우선순위가 높음. Urgent Pointer와 세트
A(Ack) : 승인 비트, 물어본 것에 대한 응답을 해줄 때 사용됨
P(Push) : 밀어넣기 비트, 데이터를 계속 밀어 넣겠다.
R(Reset) : 초기화 비트, 연결 상태를 리셋하게 됨
S(Syn) : 동기화 비트, 상대방과 연결을 시작할 때 무조건 사용되는 플래그
F(Fin) : 종료 비트

 

 

 

참조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8C%90-TCP-IP-%EC%A0%95%EB%A6%AC-%F0%9F%91%AB%F0%9F%8F%BD-TCP-IP-4%EA%B3%84%EC%B8%B5#1._network_layer_osi_7%EA%B3%84%EC%B8%B5%EC%97%90%EC%84%9C_%EB%AC%BC%EB%A6%AC+%EB%8D%B0%EC%9D%B4%ED%84%B0%EB%A7%81%ED%81%AC_%EA%B3%84%EC%B8%B5

 

🗼 TCP / IP 4계층 모델 - 핵심 총정리

TCP / IP 개념 정리 (선수 지식) IP (인터넷 프로토콜)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의 조각들을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최대한 빨리 목적지로 보내는 역할. 조각들의 순서가 뒤바뀌거나 일부가

inpa.tistory.com

https://velog.io/@jehjong/%EA%B0%9C%EB%B0%9C%EC%9E%90-%EC%9D%B8%ED%84%B0%EB%B7%B0-TCPIP-4%EA%B3%84%EC%B8%B5

 

[개발자 인터뷰] TCP/IP 4계층

계층 모형TCP/IP 모형은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으로 각 계층은 담당하는 위치마다 처리 역할을 구분해 진행함으로 서로 간의

velog.io

https://carnival.tistory.com/58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통신 접속에서 완료까지의 과정을 네트워크 통신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따라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이를 통해 계층별 기능과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

carnival.tistory.com

https://wooono.tistory.com/507

 

[Network] TCP/IP 와 TCP/IP 4계층이란?

패킷 통신이란? 데이터를 패킷이라고하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IP (Internet Protocol) 란? IP는, 패킷 데이터들을 최대한 빨리 특정 목적지 주소로 보내는 프로토콜입니다

wooono.tistory.com

https://velog.io/@dyunge_100/Network-TCPIP-4%EA%B3%84%EC%B8%B5%EC%97%90-%EB%8C%80%ED%95%98%EC%97%AC

 

[Network] TCP/IP 4계층에 대하여

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긴 하지만 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이다. 그에 반해 TCP/IP 4계층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

velog.io

https://haru21.tistory.com/entry/%EB%AC%B4%EC%84%A0%EB%84%A4%ED%8A%B8%EC%9B%8C%ED%81%AC-%EC%9D%B4%ED%95%B4-5-Chapter4-WLAN-1

 

무선네트워크 이해 (6) - Chapter4. WLAN (1)

무선네트워크 이해 (6) - Chapter4. WLAN Components WIFI 의 기본 적인 내용을 이해 하셨으면 이제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를 이제 보시게 될 텐데요. 이번 장은 간단하게 WLAN 용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

haru21.tistory.com

https://nice-engineer.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2%B9-ethernet-%ED%94%84%EB%A0%88%EC%9E%84

 

[네트워킹] ethernet 프레임

✅ 이더넷 프레임이란 ? OSI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전송 메커니즘이다. 이더넷 프레임은 표준인 IEEE 802.3 프레임과 Ethernet II라고 불리는 DIX 2.0으로 나뉜다. 실제로는 Ethernet II 프

nice-engineer.tistory.com

https://blog.naver.com/sujunghan726/220315439853

 

패킷의 이해, Ethernet 프레임, IP 헤더

▶ TCP/IP 네트워크 구조 Link Layer 구조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이더넷(Ethernet) 프레임...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oo1020_kr&logNo=221471086900&categoryNo=29&proxyReferer=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의 개념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은 OSI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전송 메카니즘이다. 프...

blog.naver.com